목록웹사이트 제작 (7)
박:현

봄 느낌을 살려봤다. ㅎ 미리 캔버스 없었으면 어쩔뻔 모바일 버젼에 문제점도 해결 했다. 아무노래 챌린지를 헤드 타이틀 아래에 넣었는데 모바일에서 스크롤해서 위로 올리면 잘리는거... 그래서 CSS 파일에서 이것저것 엄청 건드리다가 결국 찾아냈다. CSS의 아래 부분을 건드렸다 #header.on > .inner { background-color: rgba(255,255,255,1);

'아무 노래 챌린지 랜덤 악보' 메뉴를 일일우쿨 홈페이지에 달았다. 방문통계를 확인해보면 위에 검색으로 유입이 된 양은 거의 매일 일정한데 홈페이지에 들어와서 메뉴 클릭은 천회 정도 더 많이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무래도 악보가 300개 정도 되다 보니 내가 좋아하는 노래를 고르는 것도 스트레스인 거다. 아무 노래나 골라주는 저 랜덤 한 메뉴 하나가 하루 홈페이지 조회수를 15% 높여주었다. 신기하고, 나 스스로 생각해 낸 게 대견해서 기록을 남겨본다. 참고한 게시물 https://bscnote.tistory.com/146 Tistory 랜덤 버튼 만들기 개요 Tistory 블로그에 랜덤 버튼을 만들어 게시글을 랜덤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방법 Tistory 스킨 편집 페이지로 이동하..

날짜 + 안전 문구 1줄 + 그 문구와 관련있는 교육 영상 이렇게 세트를 구현했어요. 날짜와 문구는 컴퓨터로 보여주기 좋게 큰 글씨로 딱! 알림장에 매일 적으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제일 위는 오늘의 날짜 딱! 문구는 매일 바뀌어야 하니까 랜덤으로 딱! 계절이 적용이 되어 있어서 공통+해당 계절의 문구 중에서 랜덤으로 딱!(오류 수정중) (봄 3~5월, 여름 6~8월, 가을 9~11월, 겨울 12~2월) 문구가 마음에 안드시면 '바꾸다' 하시면 또 랜덤으로 딱! '고르다' 하셔서 선택하기 딱! (해쉬태그 있음) 애들이 "영상 보여주세요~~" 이런 소리 못하게 문구 복사하기로 빨리 다른데 복붙~! 딱! 내용이랑 문구는 관리자인 제가 수정 추가 할 수 있고, 혹여 오류 신고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으로 받도..

http://11ukul.com 하루 한 장 우쿨렐레 11ukul.com 하루 한 장 우쿨렐레입니다.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노래하기 좋은 우쿨렐레 악보들과 노래들을 소개합니다. 11ukul.com 매일 인터넷에서 다운 받기만 하다가 마음에 드는 노래들의 악보를 직접 만들기로 했다. 기존 하루 한 장 우쿨렐레 10강 콘텐츠 + 계속 업데이트 되는 악보들을 볼 수 가 있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의 공식 홈페이지로서 커뮤니티 기능보다는 정보를 보기 좋게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익스프레스엔진(제로보드) 기반으로 메뉴를 구성하고 스킨을 구입해서 사용했다. 실천교사의 도메인 주소 koreateachers.org 도 내 제안이었고, 선정되었다.ㅋ http://koreateachers.org 실천교육교사모임 홈페이지 실천교육교사모임은 실천을 통해 교육의 변화를 만들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함께 성장하는 교사들의 플랫폼이 되겠습니다. koreateachers.org

수학 부진아 지도를 하다보면 이 학생이 어디서부터 학습이 되지 않았는지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다. 테스트를 돕고 부족한 부분을 학습시킬 수 있는 지도안을 일일수학에서 바로 인쇄할 수 있다. 안 쓴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쓴 사람은 없다는 수학 보충 웹사이트 킹수학이다. http://킹수학.com 이용안내 킹수학 테스트지를 제작했습니다. 이용해 보세요. 다운로드 sites.google.com

2021년 초에 낚시에 입문했다. 볼락 루어 낚시를 시작으로 낚시에 재미를 붙여 릴찌낚시를 요즘은 주로 한다. 집이 유명한 창원의 원전항에서 20~30분 거리에 있어 수시로 밤 낚시를 나간다. 이렇게 자주 낚시를 하다 보니 낚시에 교육적인 장점이 좀 있는데? 생각하였고 장난삼아 시작했다. 교육마술, 교육연극처럼 교육낚시를 하면 어떨까? 장난을 치려면 제대로 쳐야지 하고 edufishging.com 이라는 도메인을 만들고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그럴싸하게 로고를 만들고, 핵심성취기준과 2015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등을 낚시와 연계시켰다. 제법 그럴듯하게 되어서 또 검색과 공부를 해보니 외국의 경우에는 이미 학교에서 낚시 교육을 하고 있었다. 그럼 진짜 해볼까? 하면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낚시 콘텐츠, 조행기 ..